굴뚝우리의 옛집에 대한 추억 중에서 가장 또렷한 것이 바로 굴뚝이다. 어릴 적 고향마을은 저녁이면 굴뚝마다 하얀 연기가 피어올랐고 아이들은 집으로 돌아갈 때임을 알았다. 하지만 땔감 용도의 목재 채집과 벌목이 금지된 후, 연탄에서 석유로 연료가 바뀌면서 굴뚝의 연기는 반길만한 것이 못되었다. 완전연소되어 내뿜는 것이라고들 하지만 그 태생부터가 친환경적이지 못해 굴뚝 옆을 지나기가 꺼림칙하게 된 것이다. 굴뚝은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받아들이고 아궁이에 바람이 들지 못하도록 막거나, 연소된 물질을 외부로 내보내는 수직적인 장치이다. 여염집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뒤란이나 처마 위로 삐죽이 솟아 묵묵히 연기를 내뿜는 기능에 충실했지만 사대부가나 궁궐, 사찰에서는 장식성이 많이 부여되었다. 그중 경복궁의 아미산, 창덕궁의 낙선재, 창덕궁 대조전 후원, 경복궁 자경전의 굴뚝은 공예품에 가깝다. 특히 경복궁 아미산의 굴뚝은 육각형의 몸체에 사군자, 십장생, 卍자, 봉황, 당초무늬 등으로 화려하다. 장수와 부귀 등 길상의 무늬와 악귀를 쫓는 상서로운 짐승들을 조형전(造形塼)으로 구워 배열하고 꼭대기에는 연가(煙家)까지 구성하였다. 가히 중국의 가장 아름다운 산인 아미산(峨眉山)의 이름을 본떠 만든 후원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양반집들에서는 전돌이나 기와를 켜켜이 쌓은 굴뚝이 처마 위까지 솟았고 이를 통해 담장 밖에서도 위세를 알 수 있어 권위의 상징이 되기도 했다. 굴뚝의 높이는 바람의 흐름에 따른다. 산간지대에서는 지붕마루보다 높이 세우고, 평야지대에서는 처마와 같거나 조금 높이 세운다. 산이 높으면 굴뚝도 높아야 바람을 적게 타서 불이 잘 들기 때문이다. 아궁이의 고래를 놓는 것처럼 굴뚝의 위치와 높이를 정하는 것도 경험에서 배어난 기술이다. 관(管)을 가지지 않는 굴뚝으로는 강원도 산간지방의 겹집이 있다. 용마루 좌우 양끝에서 짚을 안으로 욱여넣어 낸 구멍으로 연기가 빠지도록 했는데, 까치가 드나들만한 구멍이라 하여 ‘까치구멍’이라고 한다. 방의 모서리에 설치된 화로격인 코골 등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빼주는 역할을 한다. 구들이 필요 없는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지방은 벽이나 지붕에 구멍을 뚫어 연기를 빼는 것으로 대신하였다. 기단으로 구멍을 내어 마당을 소독하는 역할까지 하는 굴뚝은 경상도를 포함한 남부지방의 주택과 서원 등에서 많이 보인다. 경복궁과 창덕궁의 굴뚝들공포를 단, 격이 높은 집을 본딴 굴뚝 형태로 길상과 벽사의 문양들로 가득하다. 문양전돌을 이용한 최고 솜씨의 집합체이다. 사용하지 않는 굴뚝사용연료가 바뀌면서 쓰지 않게 된 굴뚝들은 담쟁이의 의지처일 뿐이다. 굴뚝의 재료로는 그 지역에서 많이 나는 옹기, 통나무, 기와, 흙, 판자, 벽돌, 막돌 등이 사용되었다. 나무가 흔한 산간지방에서는 통나무 속을 뚫어서 세운 통구새라는 굴뚝을 세웠고, 통나무가 귀한 곳에서는 나무를 길이로 쪼개고 안쪽을 파낸 다음 다시 맞붙인 널구새에 널쪽을 네모로 붙이고 띠로 서너 곳을 고정시켜 사용했다. 집짓기의 마무리가 다 되어 집 주변을 단장하는 단계에 이르면 대개 주인의 취향을 드러내는 조형물로서 굴뚝에 정성을 들인다. 설령 주인이 의도하지 않아도 그렇게 되는 것이 굴뚝에 가지는 우리의 심성일 것이다. 김진흥 가옥의 굴뚝조선후기 문신 윤용구의 은신처이자 순종 부마의 주택으로 알려진 성북구 장위동의 김진흥 가옥. 같은 집임에도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한 소박한 굴뚝이 있는 반면, 그 권세를 대변하는 규모의 굴뚝도 있다. 대산루의 온돌방 굴뚝 내부 상세아궁이가 사람의 가슴 높이에 있다. 두 개의 굴뚝 또한 그 정도의 높이로 사람의 얼굴 형상이다. 양주 백수현 가옥의 여러 굴뚝들아래에 허튼 돌쌓기로 기단을 만든 후 내부에는 토벽을, 외부에는 흙과 기와를 켜켜이 쌓았다. 아래에 굴뚝개자리가 있다. 원초적인 형태의 굴뚝들널판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굴뚝널판 네 개를 이용해 끈으로 두세 군데 묶어 고정시킨 굴뚝. 출처우리의 자부심 '한옥'! 『한옥 전통에서 현대로』는 다양한 변화와 진화를 겪어온 한옥들의 모습을 담은 책이다. 약 천 여컷의 컬러 사진들을 요소별로 분류하여 한옥에 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본문은 총 3부에 걸쳐 한옥의 구성요소를 소개한다. 건축, 생활, 장식으로 나누어 누구나 쉽게 우리의 전통 한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문화재로 등록된 전통가옥, 그리고 생활에 편리하도록 수리한 옛 살림집, 건축가에 의해 새롭게 재구성된 한옥까지, 한옥을 총망라하였다. 기본적인 소개내용을 포함하여 전문적인 기술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기 때문에 일반인과 건축 관련자 모두에게 유용하다. 더보기 |
'◐생활의재발견◑ >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몸 15곳 둘러보기동영상 (0) | 2020.10.05 |
---|---|
[스크랩] 우리 몸에 숨겨진 유익한 비밀들 2018-09-29 (0) | 2018.09.29 |
플라스틱용기 번호 꼭 확인하자~! (0) | 2018.09.02 |
世界各國의 1人當 國民所得 2018-08-29 (0) | 2018.08.29 |
[스크랩] 잡곡의 효능 (0) | 2018.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