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 인수위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노 대통령의 기자회견을 지켜보면서 참으로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며 “떠나는 대통령이 새정부 출범을 왜 이토록 완강히 가로막으려 하는지 그 이유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노 대통령의 주장에 대해 구구절절 반론을 제기할 생각은 없다”면서 “그러나 인수위가 졸속으로 개편안을 마련한 것처럼 주장한 대통령의 기자회견은 노 대통령 특유의 오만과 독선의 발로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지도자로서 제대로 된 인식을 갖췄다면 퇴임을 앞두고라도 자기성찰을 통해 국민 앞에 진지하게 반성과 사죄의 뜻을 먼저 밝히는 것이 도리일 것”이라며 “아직도 임기가 남은 현직 대통령인 이상 국가와 국민의 미래를 함께 책임져야 하는 책무가 남아있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마지막까지 소모적인 부처 이기주의를 부추기고, 소수의 집단 이기주의와 국론분열을 조장하는 듯한 포퓰리즘적 행태에 끝까지 집착하는 이유가 무엇이냐”면서 “혹시라도 정치적 의도가 깔린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가의 미래를 생각하고 아름답게 퇴장하는 대통령으로 기록되기를 노 대통령에게 충고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노 대통령의 ‘대(大)부처주의’비판에 대해서는 “군살을 빼서 방만하고 비효율적인 조직을 융합함으로써 능률적이고 생산적인 ‘작은 정부’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며, 국민적 합의와 공감대도 형성돼 있다”고 반박했다.
이 대변인은 “참여정부 들어 혁신과 평등을 명분으로 공무원을 6만5000여명이나 늘렸고, 장차관급만 32명,각종 위원회는 52개나 늘었다”며 “오죽하면 ‘위원회 공화국’이라는 말까지 나왔겠냐. 이 때문에 국민의 혈세가 낭비돼 국가부채가 170조원이나 늘어나 성장잠재력까지 갉아먹고 있는 실정”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