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2.05.08 조선일보에서 ○
진보당 지역 당선자와 비례대표들 2012년 4월 1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통합진보당의 19대 국회의원 선거 지역구·비례대표 당선자들이 당 공동대표들과 첫 상견례를 갖고
기념사진을 찍을 당시 모습. 맨 왼쪽부터 정진후 김미희 노회찬 강동원 이상규 오병윤 김선동 윤금순(사퇴) 김제남 박원석 당선자. /조인원 기자 join1@chosun.com
간첩단 포섭 대상(진보당 비례 5번 김제남)… 평양 출산(비례 15번 황선)…
진보당 비례 20명 중 11명이 前科(전과) 강종헌, 간첩단 사건 연루돼 사형선고…
13년 복역
김제남 1심 판결문에 "美 핵잠수함 南입항 정보보고"
서기호, 가카 빅엿 발언… 정진후, 정치자금법 위반
부정선거 사태로 홍역을 앓고 있는 통합진보당의 비례대표 후보
20명 중 보안법 또는 시국사건 관련 전과가 있는 사람만
11명인 것으로 선관위 자료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선관위 자료에 나타나지 않는 사람 가운데 13년이나
복역한 사람도 있었다.
◇간첩단 사건으로 사형 선고, 간첩단에 포섭되기도
비례대표 18번 강종헌 후보자는 재일동포 출신이다.
그는 지난 5일 진보당 전국운영위원회 의결사항대로 비례선거에 참여한 14명의
후보자가 모두 사퇴할 경우 '가카 빅엿' 발언을 했던 서기호 전 판사와 함께
의원직을 승계하게 된다.
강 후보는 1975년 서울대 의대에 유학 와 있는 동안 '재일동포 유학생
간첩단 사건'에 연루돼 사형을 선고받은 뒤 13년을 복역하고 석방됐다.
그는 대법원이 반국가단체로 판명한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한통련) 조국통일위원장을
지냈고, 역시 이적단체로 분류되는 범민련 해외본부 사무처장을 지냈다.
강 후보는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2010년 말
서울고법에 재심을 청구한 상태다. 그는 그러나 선관위 자료에 '전과'가 없는
것으로 나온다.
시민단체인 녹색연합 사무처장 출신으로 비례 5번에 전략 공천된 김제남 당선자는
2006년 민주노동당 간첩단 사건인 '일심회'의 핵심 포섭대상으로 이들을
적극 지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2007년 서울중앙지법의 1심 판결문에는 "김제남을 김일성주의 대중
지도핵심으로 육성하여 시민단체들을 반미 대중투쟁에 적극 참가하도록
지도" "조직에서는 김제남 동지를 통하여 미제의 핵 잠수함
로스엔젤레스호가 남조선 진해항에 입항한다는 정보를 보고받았다" 같은
구절이 나온다.
◇한총련, 통일연대, 경기동부, 전국연합…각각 공통분모
15번 황선 후보자는 2005년 '통일연대'의 대변인을 지냈다.
통일연대는 '국가보안법 철폐, 주한미군 철수, 연방제 통일' 등을 주장하는
단체다.
3일 부정선거 책임을 지고 비례직을 사퇴한 1번 윤금순 후보자가 공동대표로
활동했으며, 인천 맥아더 동상 철거를 주장한 단체이기도 하다.
황 후보자는 범청학련 남측본부 대변인 출신이다.
이 단체는 김정일을 가리켜 "7000만을 재결합할 민족지도자
" "구국의 영웅" 등으로 불렀던 적이 있다.
그는 1998년 덕성여대 재학 중 한총련 대표로 방북해 통일대축전에 참가했다
국보법 위반 혐의로 이듬해 징역 2년, 자격정지 2년을 선고받았다.
황 후보자는 2005년 방북해 조선노동당 창건 60주년인 10월 10일 평양에서
제왕절개 수술로 둘째딸을 출산해 '원정출산' 논란을 빚기도 했다.
청년 비례대표로 당 전국운영위원회의의 사퇴 권고를 거부한 3번 김재연 당선자는
한국외대 러시아어과 99학번으로 한총련 대의원으로 활동했다.
2004년 국가보안법 폐지를 촉구하는 국회 기습시위를 주도해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받았다.
사퇴 압박을 받고 있는 2번 이석기 당선자는 한국외대 용인캠퍼스 중국어
통·번역학과 82학번으로 반국가단체 지하당인 민족민주혁명당
경기남부위원장으로 활동하다 2003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6개월을 선고받았다.
◇'가카 빅엿' 서기호 판사 등 집시법 위반 많아
14번의 서기호 후보는 서울대 공법학과 재학 시절 집회에 나갔다가 집시법 위반으로
실형을 살았다고 언론 인터뷰에서 밝힌 적이 있다.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 출신으로 2008년 촛불집회 광우병대책위원회공동상황실장을
맡은 6번 박원석 당선자는 동국대 사회학과에 재학 중이던 1990년 화염병 시위를
하다 구속돼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고, 열린우리당·국민참여당
정책위원장, 민주노총 정책국장 출신의 10번 노항래 후보자 등도
집시법 위반 전과를 가지고 있다.
4번 정진후 전 전교조 위원장은 지난해 교사들의 정당 후원을 금지한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전국농민회총연맹 의장 출신으로 '이명박 구속'을 공약으로 내걸었던
16번 문경식 후보자는 집시법 등 3건의 시국 전과가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