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1998.11.28. 독도를 포기하는 신-한일협정에 서명했다.
|
김대중, 1998.11.28. 독도를 포기하는 신-한일협정에 서명했다.
1999.1.6. 국회에서 토의도 하지 않고 (당시 민주당이 여당)의 날치기로
단숨에 통과시켰다. 1999.1.22.부터 발효됐다.
우리 땅이 아닌 것으로 돼있다.이로 인해 3,000여척의 어선들이 일자리를 잃었고,
선박 및 어구 류 제조업체들이 날벼락을 맞았다.
어민들은 통곡을 했지만 당시 대통령 김대중은 기다렸다는 듯
그 어선들을 북한에 주자했다.
김대중이 독도에 대한 모든 것을 패키지로 금지시킨 사실이 노희찬 의원에 의해
적나라하게 지적 됐다.
◆1)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독도에 상륙하는 것을 전면 금지시켰고,
◆2) 2000년 1월 1일 방송3사가 새천년 해돋이 행사로 독도에서
방송하려는 것을 차단시켜 부득이 울릉도로 가서 방송하게 했고
◆3)남북공동 응원단에 사용된 한반도기에 독도 표시를 하지 못하도록 했고,
◆4) 울릉도 어부들이 미역걷이를 나갔다 독도에 배를 접안시키려 하다가
경비대로부터 발포와 경고방송을 듣고 혼비백산하여 도주했고,
◆5)독도에 무선기지국을 설치하려하자 일본과의 외교적 마찰이 우려된다며
저지시켰고
◆6)울릉도에 독도우체국을 설치하는 데도 ‘조용히 하라’ 압박했고
◆7) 2000년부터 5년 동안 일본 시마네현은 39건에 달하는독도문제를 논의했다
는 내용들이 열거돼 있다.
◆◆"독도는 우리 땅" 의 노래를 방송하지 않기로 약속도 하였다.
,
“독도 및 그 주변수역”에서 우리 어부들로 하여금 고기를 잡지 못하게 한 것은
‘독도가 우리땅’이 아니라 ‘일본에 내어주려는 땅’ 정도로 인식되게 하는데
충분한 것이었다.
이에 공분하지 않을 국민은 없을 것이다. 이런 김대중의 역적행위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송학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