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치스코 교황의 訪韓(방한) 2014-08-14에 유감 있다
東亞 김순덕, 중앙 김진 논설위원의 교황 비판 - 교황의 아르헨티나 식 경제관과 북한 인권 문제에
침묵한 것은 틀렸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訪韓(방한) 기간 대부분의 한국 언론은 교황을 한 종교 지도자가 아니라 全知全能(전지전능)하고
결점 없는 神처럼 대우하였다. 그의 말 한 마디 한 마디에 感泣(감읍)하고 그의 유지를 받드는 것이
우리 국민이 할 일인 것처럼 보도했다.
교황을 향한 ‘충성의 이어달리기’와 같은 보도홍수 속에 눈길을 끈 두 칼럼이 있었다.
동아일보 김순덕 논설위원은 8월18일자 <프란치스코 교황의 ‘빈곤 경제학’>이란 칼럼에서 교황의 경제에 대한
언급을 ‘종교적인 의미 말고는 진리로도, 사실로도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정면 비판했다.
<…아르헨티나 출신 교황이 경험한 자본주의는 제대로 된 시장경제가 아니라 부패 아니면 정실 자본주의뿐이다.
자본주의 비판은 가톨릭의 오랜 전통이지만 교황은 제3세계의 시각에서 자본주의를 말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가 경험한 정치는 마르크시즘과 자유주의 사이에서 헤맨 페론주의 포퓰리즘 아니면 군부독재였다.
貧富격차가 극심한 조국에서 교황은 해방신학을 내놓고 지지하진 않았지만 가난한 이에 대한 착취를 비판하며
淸貧을 실천했다. 미워하면서 닮게 된 건지 페론주의의 영향을 받아 국가 역할을 중시하고 엘리트 공격 같은
포퓰리즘 수법에 능하다는 게 영국 이코노미스트지(誌)의 지적이다.>
스스로 가톨릭 신자임을 밝힌 김 기자는 ‘직업윤리는 약하고 돈을 죄악시하면서 관료와 부패에는 관대한
가톨릭 문화’의 폐해도 지적했다.
<…유럽에서 재정위기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PIIGS(포르투갈 이탈리아 아일랜드 그리스 스페인) 국가는 우연찮게도
죄 가톨릭 국가(그리스는 그리스정교)다. 종교개혁을 이끈 마르틴 루터가 살아 돌아온다면 가톨릭 국가의
유럽연합(EU) 가입을 막았을 것이라는 얘기가 나돌 정도다. 이 나라들은 규제 많고 정부 지출도
北유럽 뺨치는 비중이어서 ‘고삐 풀린 시장경제’라고 하기 어렵다. 차라리 직업윤리는 약하고 돈을
죄악시하면서 관료와 부패에는 관대한 가톨릭 문화가 財政위기를 키웠다는 분석이 설득력 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게 자본주의를 일깨워준 신학자 마이클 노백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경제론은
가난한 자를 가난에 머물게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렇다면 아무리 교황을 공경한대도 그의 빈곤 경제학만은
따르기 힘들다는 결론이 나올 수밖에 없다.
극심한 빈부격차는 바로잡아야 마땅하되 중요한 것은 가난에서 빠져나오게 하는 방법이다. 교황이 말하는,
또 좌파진영에서 강조하는 가난한 사람에 대한 관심과 연대만으로는 한참 모자란다.>
김 기자는 ‘교황이 준 경제적 화두는 마음과 윤리 바로잡기에 소중히 활용하되, 나라 경제의 발목을 잡는
무기로 쓰는 건 교황도 원치 않는다고 믿고 싶다’고 기사를 마무리했다.
중앙일보 김진 논설위원은 8월20일자 ‘중앙시평’에 ‘북한 주민 고통에 침묵한 교황’이란 제목의 칼럼을 썼다.
김진 기자는 ‘교황 방한을 한국이 국가 차원에서 대할 수 있는 건 그의 언행이 특정 종교를 넘어 인류 보편적인
문제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었지만 그런 기대는 충족되지 않았다고 했다.
<교황은 ‘소외되고 고통 받는 자’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역설했다. 그렇다면 지금 지구상에서 가장 그런 처지에
있는 이들이 누구인가. 북한 주민 아닌가. 북한 주민은 폐쇄된 우상숭배의 나라에서 자유도 인권도 없이
하루하루 끼니를 걱정하며 산다. 종교라도 있다면 위안을 받건만 그런 건 꿈도 못 꾼다. 도피하거나 체제에
저항했다가는 끔찍한 수용소에 가야 한다.
북한 주민은 21세기 인류 중에서 가장 불쌍한 집단이다. 한국인에게는 더욱 비극적인 게 그들이 동포라는
사실이다. 그런 한국 땅을 밟았는데 교황은 왜 아무 얘기를 하지 않았는가. 북한 정권은 두려워하고,
주민은 힘을 얻으며, 세계인은 주목하는, 그런 ‘하나님의 정의’를 왜 말하지 않았는가.>
김 기자는 교황이 남북화해를 말하며 예로 든 ‘77번의 용서’도 비판했다.
<‘77번의 용서’는 남한의 많은 이에게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 북한에 대한 무조건적인 관용이 옳은 것인 양
오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용서는 개인 간에도 어려운 일이지만 국가 간에는 더욱 그렇다. 아니 어려움을
떠나 아예 옳지 않은 것이다. 국가와 개인은 영역이 다르다.
교황이 거론한 이스라엘만 해도 나치의 유대인 학살을 용서하지 않는다. 지금도 가해자를 추적해 법정에 세운다.
서독은 통일이 된 후에도 호네커를 비롯한 동독의 인권 가해자를 재판에 부쳤다. 이들이 이렇게 한 것은 성급하고
허술한 용서보다 단호한 단죄가 정의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만약 용서가 더 정의로운 거라면 한국이 일본에
침략행위와 위안부에 대해 사과를 요구하는 건 근거가 약해진다.
훗날 남북이 통일되더라도 정의의 문제는 없어지지 않는다. 천안함 폭침 같은 국가테러는 물론 북한 정권이
저지른 끔찍한 인권탄압의 증거가 살아 있기 때문이다. 이는 남북을 떠나 인류의 문제다. 그렇기 때문에
유엔 특별위원회가 조사하고 책임자의 처벌을 건의한 것이다.>
김 기자는 동유럽 역사의 물줄기를 바꾸어놓은 요한 바오로 2세의 예를 들어 프란치스코 교황을 비판했다.
<그는 1979년 조국 폴란드를 방문했다. 당시 폴란드는 공산주의 소련의 위성국가였다. 100여 만 명이 모인
집회에서 그는 인간의 존엄성을 위한 투쟁을 촉구했다. 그의 연설은 공산주의에는 불길한 기도였다.
교황의 촉구가 자극제가 되어 이듬해 폴란드에 자유와 인권을 요구하는 통일노조가 결성됐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자유연대(Solidarity)’다. 레흐 바웬사가 이끌면서 노조원은 1000여 만 명으로 늘었고 운동은
동구 공산권을 무너뜨리는 데 기폭제 역할을 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에게는 북한 주민의 신음이 들리지 않는가>
'☆아!! 대한민국☆ > ★이상한나라 아리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년 9월 15일 오전 07:02 (0) | 2014.09.15 |
---|---|
갈등만 부추겨 놓고 떠난 교황 - 퍼 온 글 2014-08-19 (0) | 2014.08.23 |
세월호 법 무엇이 문제이길래....2014-08-21 (0) | 2014.08.21 |
2014년 천주교와 정의구현사제단-0814 (0) | 2014.08.14 |
종북을 종북이라고 했다고 벌금 내라는 판사-2014-08-11 조선일보에서 (0) | 2014.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