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정연주 사장이 2일 신년사에서 ‘오만한 권력에 대해 가차 없이 비판하겠다’고 밝힌 것을 두고 내부에서 파문이 일고 있다. 정권 교체 시기에 왜 이런 발언을 했느냐는 것이다.
무엇보다 정 사장이 2003년 4월 취임한 이래 한 번도 말하지 않았던 ‘권력에 대한 비판’을 직접 언급한 게 생뚱맞다는 분위기다. 그동안 여러 차례 신년사를 했지만 비판이라는 단어는 ‘비판 기능’ ‘미국에 대한 비판’ 등 두어 번 썼을 뿐이다.
KBS 내부에선 정 사장의 말을 2009년 11월 끝나는 임기를 지키겠다는 강변으로 보고 있다. 노조의 한 관계자는 “대선 이후 정 사장 사퇴설이 나오자 불편한 심기에서 나온 것 같다”며 “정권이 바뀌었다고 오만하게 간섭하지 말라는 뜻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정 사장 측근들도 임기 전에 사장을 교체하면 KBS의 독립성이 훼손된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한 PD는 “임기를 보장해 달라는 주장은 정치적 독립성을 지닌 사장만 할 수 있다”며 “노무현=정연주로 통하는 정 사장처럼 정권에 의해 낙하산으로 내려온 이가 차기 정권에 임기 보장을 요구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 사장에게 KBS의 독립을 위해 얼마나 매진했는지를 물어 봐야 한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그는 취임 직후 논란을 빚은 이른바 ‘개혁프로그램’을 비롯해 탄핵 방송 때 편파 시비로 공정성을 저버렸다는 비판을 받았다. 2006년 연임 때는 낙하산 인사를 배제하기 위해 이사회와 노조가 합의한 ‘사장추천위원회’를 무산시키기도 했다.
최근 정 사장을 보는 내부 시선은 더 싸늘하다. 취임 첫해 외에 4년간 경영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노조 설문조사에선 응답자의 86%가 정 사장 등 경영진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 사장은 또 아들의 미국 국적 취득 및 병역 면제와 관련해 지난해 국회에서 “미국 사회에 편입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며 아들을 그리워하며 살고 있다”고 말했으나, 한 아들은 국내 대기업에서 근무하고 다른 아들도 국내에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위증 논란이 일었다.
KBS 내부의 냉소는 이런 정 사장에 대한 반발이기도 하다. 또 다른 PD는 “정 사장이 물러나지 않겠다는 뜻으로 갑작스럽게 권력 비판을 강조하는 것이야말로 ‘오만한 권력’”이라고 말했다.
서정보 문화부 suhcho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