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콥스키가 <1812년 서곡>을 작곡하기 시작한 것은 1880년의 일로 <이탈리아 기상곡>을 완성한 지 조금 뒤의 일이었다. 모스크바에서 열릴 산업예술박람회의 음악감독이 된 니콜라이 루빈스타인(당시 러시아에서 손꼽히는 피아니스트이자 차이콥스키의 친구였으나, 작곡가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을 혹평한 일로 한때 우정에 금이 가기도 했었다)의 의뢰 때문에 쓰게 된 작품이다. 경제관념이 다소 희박해 빚을 지기 일쑤였던 차이콥스키였던지라 ‘찬 밥 더운 밥 가릴’ 처지가 아니었지만, 어지간히 내키지 않는 작업이었던지 당시 후원자였던 폰 메크 부인에게 보내는 편지를 보면 ‘어떤 축전을 위해 작곡하는 것만큼 맥 빠지는 일도 없다’, ‘아무런 애정도 없이 쓴 것이어서 그리 가치가 없다’는 등 스스로 작품에 신랄한 혹평을 가하고 있다. 이런 곡이 오늘날 표제음악의 걸작 중 하나로서 널리 사랑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 작곡가는 과연 어떻게 생각할까?
‘아무런 애정도 없이 작곡한’ 표제음악의 걸작
제목의 ‘1812년’은 이 해에 있었던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전(러시아에서는 이를 ‘조국전쟁’이라 불렀다)을 가리킨다. 처음에 의기양양하게 진군하던 프랑스군이 러시아군을 만나 격렬하게 싸우는 모습이 ‘라 마르세예즈’*(프랑스 혁명 때 작곡되었으며, 현재 프랑스 국가이기도 하다)와 제정 러시아 국가의 각축으로 표현되었으며, 결국 러시아군의 압도적인 승리로 끝난다. (이 때문인지 몰라도, 프랑스 악단이나 지휘자가 이 곡을 녹음한 사례는 거의 없다. 말하자면 이란에 마라톤 선수가 없는 것과 비슷하다고나 할까.) 어떤 면에서는 다분히 외면적이고 통속적인 효과를 겨냥한 작품이지만, 매우 극적이며 악상의 전개가 절묘해 표제음악의 대표적인 예 중 하나로 자주 거론된다.
이 곡은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을 다룬 음악이다. 말 위에 앉은 나폴레옹이 모스크바를 바라고 있다.
이 곡은 교회 종과 대포 등 정규 관현악곡에서는 쓰이지 않는 특이한 악기(?)가 사용되는 것으로도 유명하며, 사실 이것이야말로 이 곡의 인기 가운데 적지 않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클래식 초심자에게는 엄청난 극적 쾌감을 선사하고, 오디오 마니아에게는 음반과 음향기기의 재현 능력을 가늠할 잣대 중 하나로 여겨진다. 물론 실내에서는 대포를 쏠 수 없기 때문에 일반 공연장에서는 보통 큰북으로 대체되며(이 경우에는 교회 종 파트도 대개 차임벨로 연주한다), 야외 공연에서는 군대의 의전용 대포를 빌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대포를 누가 쏘게 할 것이냐를 놓고, 이 경우에는 대포도 악기라는 이유로 음악가가 맡아야 한다는 의견과 대포는 어디까지나 무기이니 군인이 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선 적도 있었던 모양이다. 내가 보기에는 그냥 군악대에서 한 명 차출하면 될 것 같은데 말이다.
Antal Doráti conducts Tchaikovsky '1812 Overture'
Antal Doráti, conductor
Minneapolis Symphony Orchestra
University of Minnesota Brass Band
Cannons courtesy: U.S. West Point Military Academy
Bells: Laura Spelman Rockefeller Memorial Carillon
1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