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대한민국☆/★광복 76년 나라바로잡기

전교조 빨리 사라져야 한다

modory 2016. 3. 16. 08:06

늙어가는 전교조… 20代, 6년새 절반 넘게 줄었다
2016.03.16 조선일보 
[20대 비율, 2009년 전체 6.5%서 지난해 3% 수준까지 떨어져]- 평균 나이, 6세 늘어 46세젊은 피 수혈하려는 노력에도 20·30대 "위법단체라…" 꺼려
연가투쟁·삭발 등 극단 투쟁과 잦은 정치투쟁에도 부담 느껴전임자 직권면직 등 법적조치로 전교조 조합원 더 감소할 가능성
지난 1월 겨울방학 중 전교조 조합원들이 충청북도의 한 장소에 마련한 연수 현장. 연수 일정 중 전교조 조직의 과제와 해결책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프로그램이 진행됐는데, 조합원들이 쏟아낸 주 고민은 '젊은 피 수혈'이었다고 전해진다. 예컨대 '2030 조합원 확대' '새내기 교사들과 만나 전교조 알리기' 등 '젊은 전교조 조합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줄을 이었다는 것이다.실제로 전교조는 2014년 6월 법원으로부터 법외 노조 1심 판결을 받은 전후 조합원이 줄었을 뿐 아니라 젊은 교원들이 점점 가입을 기피하면서 사면초가 형국이란 분석이 나온다.◇늙어가는 전교조전교조가 신규 교원 유치전에 나서는 것은 조직의 노령화와 연관이 깊다. 본지가 지난 2009년 전교조 대의원 대회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대 연령층 조합원 비율은 전체 조합원의 6.5%였다. 그런데 20대 조합원 비율은 점점 줄어 지난해에 전체 조합원 중 3% 수준으로 줄어든 상태라는 게 교육계 전문가들의 추정이다.
이미지 크게보기조합비를 낸 전교조 조합원 수가 2014년 4만8000명, 2015년 4만9000여명으로 2년 연속 4만명대에 머물렀다. 이는 1999년 전교조가 합법화된 이후 가장 적은 숫자다. 사진은 전교조가 법외 노조 판결을 받은 지난 1월 21일 서울 서대문구 전교조 사무실에 한 남자가 들어가는 모습. /오종찬 기자
지난해 발령받은 서울의 한 중학교 교사 A(26)씨는 "요즘 젊은 교사들이 교원단체에 가입하는 것 자체에 별 관심이 없는 데다 가입을 하더라도 '이 단체가 내게 복지 혜택 등 어떤 이득을 줄지'부터 따지는 경향이 있다"며 "더구나 전교조는 정치 투쟁 중심으로 뉴스에 오르내리고 법외 노조 판결로 '위법 단체'가 됐으니 섣불리 가입하기 어려워하는 동료가 많다"고 했다. 초교 교사 B(29)씨 역시 "전교조는 우리 교육의 좋은 점도 많은데 항상 나쁜 점만 부각시키며 급진적으로 '바꾸자'고만 하는 것 같다"고 했다.젊은 교원들의 노조 가입이 주니 자연스레 조합원 평균 나이는 올라갔다. 2009년 평균 나이 40세에서 2011년 44세, 2015년에는 46세로 6년 새 여섯 살 '늙어버린 전교조'가 된 것이다. 지난해 전국 유·초·중·고교 교원의 평균 나이(40.4세)와 비교해서도 확연히 많다.◇"'위법 단체' 가입 부담"전교조는 1989년 발족 당시엔 '참교육'을 기치로 내걸고 촌지 없애기, 찬조금 안 받기 운동 등을 펼쳐 학생과 학부모 호응도 얻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이념 투쟁 성향이 뚜렷해졌다. 2004년에는 이라크 전쟁 파병과 관련, 반전·평화 계기 수업을 해 논란이 됐고, 2006년엔 전교조 교사가 빨치산 추모제에 학생들을 데려간 사실이 알려졌다. 2008년 광우병 사태 때는 전교조 교사들이 학생들의 촛불 시위 참여를 유도하며 이념 투쟁에 나섰다. 당시 중·고교 시절을 보내고 새로 교사가 된 젊은 교사들이 정치적 색깔을 띠는 전교조에 대해 편치 않은 감정을 느끼는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초교 교사 C(31)씨는 "요즘 젊은 교사들 사이에 전교조는 '지나치게 과격한 정치적 색채'를 띤다는 공감이 있기 때문에 가입에 대해 거부감이 있다"고 말했다.이런 전교조는 앞으로 더 위태로워질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지난 1월 항소심에서 '법외 노조' 판결을 받은 전교조를 상대로 한 후속 조치를 철저히 이행하라며 전교조를 압박하고 있다. 학교로 복귀하지 않은 전교조 전임자에 대해 시도교육청이 직권 면직하라고 지시한 후 그 결과를 18일까지 보고하 광고
     광고도록 했다. 이미 서울의 한 사립 고교 전교조 본부 전임자 한 명에게는 직권 면직 통보서가 발송된 상태다. 전교조 본부 사무실 등 전국 전교조 사무실 임차 보증금 38억원 등을 회수하기 위한 법적 조치도 시작됐다.한 교육계 인사는 "전교조 입지가 갈수록 위축되는 현 추세가 이어지면 자발적으로 조합비 내는 전교조 조합원이 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일보 &Chosun.com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