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세상 2018년 4월 19일 목요일
◈ [단독]드루킹 "2016년 9월3일 문재인의 선플발언으로 경인선 태동"
2016년 문팬 창립총회가 ‘드루킹 사건’ 진앙/ “문재인 의미심장한 부탁에 경인선 태동”/ 김현 “트윗 1000개, 조선일보 1면과 같다.”/ 경인선 ‘선플 운동(댓글 조작)’ 지침 하달/ 현재 경인선 블로그에는 ‘숨긴 글’로 처리
“2016년 9월 3일 문재인 팬클럽 ‘문팬’ 창립총회에서 문재인 전 대표는 아주 의미심장한 ‘부탁’을 하십니다. 이 말씀의 의미가 ‘경인선’을 태동하게 하였고 여기까지 오게 하였습니다.”
대선을 앞둔 작년 3월 6일, ‘드루킹’ 김모(49)씨가 주도한 블로그 ‘경인선(經人先·경제도 사람이 먼저다)’에 이런 글이 올라왔다. 작성자는 블로그 이름과 같은 ‘경인선’.
이 대목 아래에는 ‘문팬 창립총회’ 당시 축사하는 문재인 대통령(당시 전 민주당 대표) 영상이 붙었다. 영상에서 문 대통령은 이렇게 말한다. “SNS 공간에서 대대적인 선플(선한 댓글) 운동이 전개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드루킹이 올린 글은 당시 문재인 대선후보의 말을 의미심장한 부탁으로 받아들였다고 말한다. 실제 경인선은 ‘선플 운동(댓글 조작)’ 지침을 하달해왔다. 문팬 창립총회가 드루킹 ‘댓글 조작’의 시작점에 있는 사건인 셈이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19/2018041902032.html
◈ [드루킹 게이트] 무관하다더니… 與, 대선후 野에 '드루킹 고발취하' 요구
與, 작년 국민의당과 訴 취하때 '일반인' 드루킹 연루 사건 포함
野 "의원·당직자 外 취하 요청, 드루킹 등 문팬 회원들이 유일"
與 "국민의당이 준 고발 자료엔 드루킹 명시 안돼 알 수 없었다"
더불어민주당이 작년 9월 국민의당(현 바른미래당)에 대선 관련 고소·고발을 서로 취하하자고 하면서 댓글 조작 사건의 주범 김모(필명 '드루킹')씨가 연루된 사건을 포함시켰던 것으로 18일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민주당 차원에서 대선 공로자인 드루킹을 '관리'했다는 의미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그간 드루킹에 대해 "당과 관계가 없다"고 해왔다. 야당은 "당시 민주당의 취하 요청 대상 가운데 의원·당직자가 아닌 것은 드루킹을 포함한 문팬 회원이 유일했다"고 했다. 이에 민주당은 "드루킹 포함 여부를 몰랐다"고 해명했다.
원문보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19/2018041900303.html
◈ [사설] 대통령 부인까지 등장하기 시작한 '드루킹 게이트'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가 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의 주범 김모(필명 드루킹)씨가 주도한 정치 모임 '경인선(경제도 사람이 먼저다)'을 찾아 격려한 사실이 드러났다. 인터넷에 공개된 영상에서 김 여사는 대선 직전인 지난해 4월 지지자들을 만나던 중 "경인선도 가야지"라며 이 모임이 있는 곳으로 이동했다. 경호원으로 보이는 여성이 다음 일정 장소로 가자고 재촉했지만, 김 여사는 경인선에 가야 한다는 말을 다섯 차례 했다. 김 여사가 경인선 관계자들과 악수할 때는 드루킹이 댓글 작업 결과를 보고해 온 김경수 의원이 바로 옆에 있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18/2018041803335.html
◈ ‘민주당원 댓글공작 진상조사단장’ 김영우 "文 대통령, 불법 여론조작으로 탄생"…드루킹 사건 의혹 총정리
지난 대선 과정에서 여론조작을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경제적 공진화 모임의 대표 김모씨(필명 드루킹)가 대선 경선 과정에서부터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현 정권의 실세들과 교류하며 여론 조작에 적극 관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자유한국당의 ‘민주당원 댓글공작 진상조사단장’을 맡고 있는 김영우 의원은 19일 오후 자신의 블로그에 ‘드루킹 게이트 의혹 정리’라는 글을 작성했다. 김 의원은 이 글에서 “여러 의혹을 종합할 때, 문재인 대통령은 불법 여론조작으로 당선됐다는 합리적 의심이 가능하다”며 각종 의혹을 정리했다.
◇드루킹, 민주당 대선 과정에서 文 대통령위해 여론조작 의혹
김 의원은 “드루킹은 지난 2016년 4·13 총선 이후부터 김경수 의원을 수차례 방문해 문 대통령을 돕고 싶다는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그는 “드루킹이 지난 2016년 10월 트위터 활동을 시작한 이후에는 문 대통령에 대한 지지를 담은 트윗을 집중적으로 올렸다”며 “11월에는 경제 공진화 모임(경공모)에 ‘박원순·안철수, 이재명의 지지자는 회원으로 받지 않겠다’는 취지의 공지를 올리기도 했다”고 말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드루킹은 민주당 대선 경선 다음날인 지난 2017년 4월 4일 ‘문재인의 압도적 경선 승리는 우연이 아니다. 민주당 권리당원 가입운동을 펼쳐 2200명이 넘는 권리당원을 만들었고, 저도 민주당에 입당해 이번 경선에서 광주·대전·부산·서울의 경선장에 모두 참여했다’는 글을 올렸다. 또 ‘우리가 손을 놓고 있었다면 정말 위태로운 경선이 되었을 것’이라며 ‘문재인을 지키고 지난 2007년의 패배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 칼을 뽑겠다’고 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경공모의 내부 자료 댓글 매뉴얼에는 안희정·김경수·김상조·전해철·양정철·이재명·추미애 기사 위주로 (여론 동향을) 체크하라는 지침이 존재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드루킹은 이후 대선 과정에서도 ‘네이버 같은 포털 사이트 기사 댓글은 문재인을 깎아내리는 댓글로 도배가 될 것’이라며 ‘댓글을 달아 그를 지켜야 한다’는 글을 올려 지지자들의 댓글 활동을 부추겼다. 이후 지난 2017년 4월 24일에는 ‘블로그 글 등 사이버 여론 ‘작업’이 정말 성공적이었던 것 같다’며 ‘두 번의 TV토론으로 문재인이 2위 주자(안철수 당시 국민의당 후보)와 격차를 크게 벌렸는데, 그 토론에 대한 여론을 우리가 만들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지난 2017년 6월 대선 이후에는 ‘(문 대통령의) 대선 승리는 일반 시민의 자발적인 역량으로 이긴 것이 아니라는 점을 주의 깊게 봐야 한다’며 ‘“그보다 훨씬 정교한 준비를 우리 진영에서 오래 전부터 진행해 왔기 때문’이라고 쓰기도 했다.
드루킹의 이같은 공직선거법 위반은 지난 대선 전부터 계속돼왔다. 김 의원은 “드루킹은 지난 2016년 총선 당시 노회찬 후보 가족을 위한 자원봉사자에게 200만원의 돈을 준 혐의로 600만원의 벌금형을 받은 기록이 있다”고 밝혔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19/2018041902145.html
◈트럼프, 김정은에 "1대1 核담판 하자"
폼페이오 美국무, 이달 초 극비리 訪北… 金에 직접 메시지 전달
"파격 형식 돼야 파격 결과"… 6개월~1년 핵폐기 날짜 못 박을 듯
회담장소 美·한반도 제외… 몽골·싱가포르·스위스·스웨덴 거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에게 배석자 없는 '1대1 북핵(北核) 담판'을 제의한 것으로 18일 알려졌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19/2018041900273.html
◈ [사설] 포스코 회장 사퇴 압박했다면 강요죄로 실형 선고받아야
권오준 포스코 회장이 어제 사퇴 의사를 밝혔다. 포스코에서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이런 일이 벌어진다. 매번 그랬듯이 이번에도 정부 측의 직간접 사퇴 종용이나 압박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지 않고서는 지난 1일 열린 포스코 50주년 기념식에서 "또 다른 성공 신화를 만들겠다"던 사람이 갑자기 그만둘 이유가 없다. 포스코는 지난 2000년 민영화됐다. 이제 정부는 주식 단 한 주도 갖고 있지 않다.
그런데도 정권이 바뀌면 회장이 바뀌는 것이 무슨 공식(公式)처럼 됐다. 과거에는 관성적으로 그러려니 했다. 그런데 이제 더 이상은 그럴 수 없게 됐다. 박근혜 정부 청와대 경제수석이 2013년 CJ그룹에 이미경 부회장의 퇴진을 요구한 것이 드러났다. "검찰 수사까지 안 갔으면 좋겠다"고 검사들을 동원할 수 있다고 압박했다. 결국 이 부회장은 물러났다. 그 경제수석은 최근 강요와 협박이 인정돼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박 전 대통령도 유죄를 받았다. 이제는 권력이 민간 기업에 이런 압력을 넣으면 감옥에 간다. 포스코 권 회장에게 퇴진 압력을 가한 사람이 있다면 그도 감옥에 가야 한다.
원문보기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18/201804180333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