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풍진세상●/★뉴스모자이크

◆2022년 03월 17일 木(목) ☞오늘의 세상 ◆

modory 2022. 3. 17. 10:13
◆2022년 03월 17일 木(목) ☞오늘의 세상 ◆
 
[20대 대통령에게 바란다]
한발 늦은 방역정책, 의료 위기상황 초래… 인력·장비 제때 지원을/조일지 아주대병원 간호사/ 지난 2년간 집보다 병원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20년째 간호사로 살고 있지만 지난 2년 코로나 상황은 이전에는 겪어보지 못한 충격과 부담으로 다가왔다.☞원문보기 ☞
https://www.chosun.com/culture-life/culture_general/2022/03/17/LZRAUNOCC5EZZJYK56P3IPURZQ/
 
 
[뉴스A][여랑야랑]민정수석실 폐지에 떨떠름’? / ‘대통령 훈장때마다 논란
동영상보기https://youtu.be/q7f_w_8Gz9s
 
[성창경TV] 이재갑 독감도 하루 40만명이면 의료붕괴정부 솔직히 고백해야확진자 50만명 대. 비상 상황동영상보기https://youtu.be/EbJeYui76tY
 
[진성호의 융단폭격] 윤석열 문재인 청와대 오찬이 무산된 진짜 이유?
동영상보기https://youtu.be/qmpEq-PqDYo
 
[뉴스데일리베스트] “대선 패배한 정당 맞아?”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
동영상보기https://youtu.be/tP-XuredB4A
 
[조선일보 팔면봉]
新舊 권력, 인사·사면 놓고 갈등. 권력은 겸손과 배려를, 권력은 순리와 협조를.
거취 압박받던 김오수 검찰총장, "법과 원칙에 따라 임무 수행할 것." 이전에도 법과 원칙 지켰나 먼저 돌아보길.
폴란드·체코·슬로베니아 3국 정상, 전쟁 통 우크라 수도 방문. 이런 친구 있다면 전쟁은 이미 이긴 것이오.

 
, ICBM 추정 미사일 쐈지만 공중 폭발/유용원 군사전문기자 김승현 기자
고도 20못 미쳐 폭발조만간 추가 도발할 듯/ 북한이 16일 평양 순안 일대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쐈지만 발사 직후 공중 폭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발사는 북한이 지난 5'괴물 ICBM'으로 불리는 화성-17형의 성능 시험을 위해 시험 발사를 한 지 11일 만에 이뤄졌다. 이번 발사가 한미가 주시하는 '신형 ICBM 최대 사거리 발사' 시도였는지, 이에 앞서 실시한 추가적인 성능 시험이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이하 생략 원문보기
https://www.chosun.com/politics/diplomacy-defense/2022/03/17/DOPT36TAGVBTLKVDRY5KKEGI6I/
 
[오늘과 내일/이진영]당선 도운 의 공영방송
정부 실정에 눈감아 몰락 재촉한 공영방송/제구실 못하는 방송에 왜 주파수 낭비하나이하 생략 원문보기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20316/112368354/1
 
선관위 상임위원 15"노정희 사퇴하라"/노석조 기자
"대선 부실 관리" 전례없는 반발노 위원장 오늘 거취 표명할 듯/
전국 시도 선거관리위원회와 중앙선관위 소속 상임위원 15명이 16일 공동 입장문을 내고 대선 사전 투표 부실 관리 논란 등과 관련해 "노정희 중앙선관위원장(대법관)의 대국민 사과와 거취 표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하 생략 원문보기
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2/03/17/2GNTJ4CSXRHLJDKSVHT44D3IXA/
 
인사·사면 놓고 新舊 권력 갈등/김아진 기자 주형식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당선인, 오찬 회동 이례적 취소/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6일 청와대에서 오찬 회동을 하기로 했다가 취소했다. 양측은 회동 무산 이유에 대해 "합의에 따라 밝히지 못한다"고 했지만,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과 임기 말 '알박기' 인사를 두고 신구 권력이 충돌한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이하 생략 원문보기

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2/03/17/MOYWHL7IXVAOLBLNZPVPI5EJDI/
 
[조선 사설] 돌연 무산된 ·회동, 감정 다툼으로 국민에게 실망 주나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간 16일 첫 오찬 회동이 예정된 시각 불과 4시간 전에 무산됐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과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실무 협의가 마무리되지 않아 일정을 다시 잡기로 했다"고 했다. 이유에 대해선 양측 합의에 따라 밝히지 못한다고 하고 있다. 한국은행 총재직을 비롯한 공공 기관·공기업 인사권에 관한 양측의 엇갈린 입장과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 문제 등이 걸림돌이 됐을 것이라는 관측만 나올 뿐이다.이하 생략 원문보기
https://www.chosun.com/opinion/editorial/2022/03/17/UL24XP4QCBAXXPQL33X23ITDK4/
 
[조선 사설] '소쿠리 투표' 참사, 아래서 책임지고 선관위원장은 버틸건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김세환 사무총장이 16"사전투표 부실 관리 사태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고 사죄드린다"며 사의를 표명했다. 지난 5일 코로나 확진·격리자 사전투표에서 21세기 대한민국이라고 믿을 수 없는 원시적인 상황이 벌어졌다. 투표용지를 소쿠리나 비닐봉지 등에 담아 옮기고 이미 기표한 용지를 나눠주는가 하면, 참관인도 없는 상태에서 투표함에 용지를 넣기도 했다. 직접·비밀투표라는 선거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 훼손된 것이다.이하 생략 원문보기
https://www.chosun.com/opinion/editorial/2022/03/17/OW5LZMLKDNHGNCV373QYWA7CC4/
 
김오수 "·원칙따라 임무 충실하게 수행" 검찰내부 "퇴임 맞춰 거취 결정할듯"/이정구 기자
국민의힘 "거취 결정하라" 요구에 27입장문 발표하며 사퇴 거부/
김오수 검찰총장은 16일 국민의힘에서 나온 '거취 표명' 요구에 대해 "검찰총장은 법과 원칙에 따라 본연의 임무를 충실하게 수행하겠음"이라는 27() 입장을 내놨다.이하 생략 원문보기

https://www.chosun.com/national/court_law/2022/03/17/EYUCHUS7GFCDNLCZPIH5ZRJTYQ/
 
0317() 조선일보 많이 본 뉴스 10 제목 클릭, 기사 볼 수 있음
1.지난 달 부부됐다, 엎질러진 물김수민 SBS 아나 결혼사실 공개
2.오미크론, 독감과 비슷? 전문가들 비교가 안된다반박하는 이유
3.[단독] ‘대통령 집무실용산·광화문 두고... ·, 오후 5시 최종 회의
4.탈원전 감사 뭉개기논란 간부... 감사원, 인수위에 추천했다
5.이재갑 코로나로 500명씩 사망해도, 걸릴만큼 걸려 끝내려는 듯
6.인사 협의해야이래라저래라 말라”...회동 무산 무슨 일이
7.흉기로 찌른 뒤 큰길까지 뒤쫓았다, 입주자 살해한 관리소장
8.사이버 작전 발사의 왼편때문?... 미사일 20못올라 폭발
9.꼭 테트리스처럼, 시내 주차난을 해결한 서울대생의 아이디어
10.푸틴 사이코패스러 모델, 실종 1년 만에 시신으로 발견
 
0317() 동아일보 주요뉴스 10 제목 클릭 기사를 볼 수 있음
1[오늘과 내일/이진영]당선 도운 의 공영방송
2[김순덕 칼럼]권력에 복무한 여가부 페미장관들
3[단독]“용산 집무실, 광화문보다 보안-경호 이점이전 비용은 3분의 1”
4[단독]새 대통령 집무실, 용산 국방부 신청사 유력
5육군장관 한국에 핵무기 재배치는 망설여져
6[주성하 기자의 서울과 평양사이]탈북해 한국에서 20년을 살아보니
7[단독], 올들어 공기관장 잇따라 임명정당한 인사권알박기
8[단독]백악관처럼 시민이 집무실볼 수 있게 한다
9‘성스러운 재블린미사일, 러 탱크 무력화전쟁 판도 바꿨다
10선관위 상임위원 15노정희 거취표명하라
 
0317() Daum 많이 본 뉴스 10 제목 클릭. 기사 볼 수 있음
1.SBS윤 당선인, 호주 총리와 통화..'쿼드' 가입에 시동 거나?
2.경향신문'소쿠리 투표 논란' 선관위 사무총장 사퇴, 노정희 위원장 거취에도 파장?
3.동아일보[단독]백악관처럼 시민이 '집무실' 볼 수 있게 한다
4.서울신문자화자찬 열 올리던 매체들, ICBM 실패에 '침묵'
5.뉴시스지자체 확진자 격리장소 이탈 관리 손떼, 괜찮을까?
6.미디어오늘국민일보 "윤 당선인 조급함에 검찰총장 거취 압박 선 넘어"
7.뉴스1"연준, 성장 희생 감수하며 물가 잡겠다는 의지 발산"
8.노컷뉴스요동친 유가..2Q 전기료, 월 최대 3천원 안팎 오를 수도
9.뉴시스하늘길은 열리는데 치솟는 유류할증료..항공업계 '속앓이'
10.서울경제셰일오일에 흔들리는 '페트로 달러'.. 영원한 동맹은 없다[양철민의 경알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