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풍진세상●/★세상보기

kbs 해체보다 사장 재선임을 막아야 한다.

modory 2006. 10. 8. 12:36
독립신문 - 우리는 강간당한 KBS 라고 글을 썼는데 
"KBS해체운동을 벌일 때"라고 주장했다. 지금 kbs 사장 선임이 문제인 것이다. 정연주씨의 재선임을 막으면 된다.
[2006-09-28 11:55:49] 인쇄
언론매체의 핵심은 공정성이다. 특히 방송매체의 경우 공정성이 으뜸가는 가치다. 공정하지 못한 방송매체는 존재이유가 없다. 그런데 KBS는 노무현 정권에 의해 여러 차례 강간당했다. 이제 수신료 거부 정도가 아니라 아예 KBS해체운동을 벌일 때다.

지금 KBS 사장 자리를 놓고 정연주와 노무현이 벌이는 치졸한 게임을 보면 KBS는 더 이상 공영방송이나 공정한 방송이 아니라 정연주 개인의 방송이거나 노무현의 선전도구로 전락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연주는 임기가 끝났는데도 사장직을 계속 수행해왔다. 임기가 무색하다. 규정까지 어기면서 사장노릇을 할 수 있었다면 이것은 정연주 개인의 회사에 불과하다.

뿐만 아니라 정연주는 재임용을 위해 지원서를 제출하기 직전에야 사표를 냈다. 임기가 지난 사장이 사표를 낸다는 것은 또 무슨 일인지 알 수 없다. 그리고 노무현은 정연주의 연임을 위해 압력을 넣고 있다는 소문이다. 이들은 KBS를 사유화하기 위해 국민의 공정성에 대한 기대를 깡그리 짓밟고 있다.

오늘 보도를 보면 노무현 정권은 정책 홍보를 위해 KBS에 방송제작 지원금(협찬금)을 지급하면서 프로그램 제작 단계에서부터 방영에 이르기까지 개입하였다고 한다. 한나라당 이재웅 의원이 27일 입수한 ‘경제 매거진 Upgrade KOREA 제작 및 방송 협력 계약서’에 따르면 국정홍보처는 올해 6월 한국의 경제정책에 관한 해외홍보 방송을 위해 KBS에 3억9600만 원을 주고 ‘경제 매거진 Upgrade Korea’ 프로그램을 주 1회, 30분 분량, 30편을 공동 제작하기로 계약을 체결했다. 이재웅 의원에 의하면 “국정홍보처뿐만 아니라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농림부 등 다른 정부 부처들도 정책 홍보를 위해 지원금을 주고 KBS의 ‘특집’이나 ‘기획’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노무현 정권의 KBS에 대한 영향력 행사가 이 정도면 ‘강간’ 수준으로 보아야 한다.

국정홍보처의 작태는 과히 파렴치범 수준이다. 국정홍보만 잘하면 엉망인 국정이 바로잡히는가? 이것은 홍보가 아니라 속임수다.

KBS가 이와 같이 방송사로서의 핵심가치인 공정성을 잃었다면 차라리 해체하고 우리들의 노력으로 새롭게 공정한 방송매체를 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BS 수신료 거부를 지나 KBS해체운동을 벌이자. 그리고 우리 손으로 공정한 방송국을 새로 만들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