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대한민국☆/★광복 76년 나라바로잡기

[國史교과서 국정화] 2015년 10월 20일 오전 07:29

modory 2015. 10. 20. 07:30

조선일보 : 2015.10.20.
[國史교과서 국정화] 검정 참여했던 교수·교사 5명에 들어보니…

"美軍의 양민학살 다루자면서 빨치산의 민간인 학살은 거부" / 김성모 기자

"어떤 검정위원은 초지일관 1980년대 배운 민중사관서 아직도 벗어나지 못해"
"모두 1표씩 행사해 다수결로 서술 방향 정하는 건 문제"

현재 한국사 교과서 검정 심의 과정에선 도대체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본지는 한국사 교과서 검정 작업에 참여했던

대학교수와 고교 교사 5명을 취재했다. 이들은 모두 "현재의 교과서 검정 체제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고,

이 중 3명은 "현재의 검정 체제로는 결코 균형 잡히고 바람직한 교과서가 제작될 수 없는 구조"라며

국정화에 무게를 실었다.

◇"편향된 역사학계의 축소판"

2015년 고등학교 한국사 검정 심사 과정

검정에 참여했던 대학교수 A씨는 '속수무책'이란 표현을 자주 썼다. 검정 작업에도 편향된 인사들이 많이 참여해

자신의 의견이 받아들여지기 어려웠다는 주장이다. "미군에 의한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은 다루자면서

빨치산에 의한 민간인 학살에 대한 내용은 찾아보기가 어려웠습니다. 이에 검토 의견을 냈는데 받아들여지지

않더군요." A 교수는 검정교과서에서 꼭 고쳐야 할 부분 40여곳을 골라 검정 위원들에게 알렸는데,

받아들여진 것은 3~4개 정도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그는 "어떤 교수는 검정 회의 중에 소수 의견을 낸 교수를 향해 '너 나가'라며 모욕까지 줬다고 들었다"며

 "다수의 힘으로 교과서 기술(記述) 내용을 밀어붙이는 현 상황을 뜯어고치려면 우리 역사학계가 근본적으로

변하는 것밖에 도리가 없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검정 작업에 참여한 일부 고교 교사들의 편향성 문제를 제기한 교수도 있었다. 사립대 B 교수는 "어떤 교사들은

초지일관 자신들이 배운 1980년대 민중사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며 "그들은 잘못 기술된 것을 고치자는

지적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모두 한 표씩은 문제"

C 교수는 논쟁적인 부분에 '누구나 한 표씩' 의견을 내 다수 의견으로 정하는 현행 검정 시스템엔 개선이

필요하다고 했다. "교수든 교사든, 특정 시대사 전공이든 아니든 모두 한 표씩을 행사해 다수결로 교과서

기술 방향을 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현 검정 시스템에서는 조선시대 등 시대별 검정 인원이 교수와 교사 2명 정도밖에 없어, 민감한 부분이 생기면

비(非)전공자까지 모두 참여한 가운데 1인당 한 표로 서술 방향을 결정한다. C 교수는 "교사가 아이들을

가르치는 데는 전문가이지만, 한 분야의 전공 학식이 깊은 교수와 똑같이 한 표를 행사해 교과서를

만드는 것은 문제"라고 말했다.

검정 작업에 참여한 D 고교 교사는 "나는 고대사 부분을 맡았지만, 근현대사 기술 방향에 대해 다수결로 투표할 땐

그 부분(근현대사)을 담당하셨던 분들의 의견을 많이 따라갈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검정 작업에 효율성을 더하려면 일선 교사나 검정 작업에 나서는 교사들에게 충분한 자료부터 제공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검정 작업에 참여했던 E 교사는 "최소한 검정위원들에게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공과(功過) 등과

같은 예민한 부분에 대해서는 충분한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역사 교과서는 국정화하여야 한다. 그 길이 대한민국을 지키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