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풍진세상●/★뉴스모자이크

◆2021년 8월 30일 月(월) ☞오늘의 세상 ◆

modory 2021. 8. 30. 08:55
◆2021년 8월 30일 月(월) ☞오늘의 세상 ◆
 
◈문재인에게 묻는다
● 윤희숙 국민의힘 의원이 부친의 농지법 위반 의혹과 관련해 "의원직을 사퇴하겠다"고 했지만 민주당은 29일에도 '안 된다'고 했다. "의원직을 유지하고 수사받으라"는 것이다. 국회법상 현직 의원 사퇴는 본회의 표결로 결정되는데, 170여 석의 민주당이 반대하면 윤 의원은 사퇴하고 싶어도 그럴 수가 없다. 국회의원에 대한 의혹이 불거졌을 때 상대 당에서 "의원직을 사퇴하라"고 아우성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인이 사퇴하겠다는데 상대 당이 안 된다며 국회 표결을 거부하며 어깃장을 놓은 경우는 처음 본다. 이게 문재인정권아래서 빚어지고 있는 현상이다. 양심과 염치가 없는 문재인패거리들!! 이런 현상을 보고만 있을 것인지 묻는다. ☞조선일보 사설에서 발췌 원문보기 ☞
https://www.chosun.com/opinion/editorial/2021/08/30/FO5YC7ZJBNE4JGZCTGX4ILUDJU/
 
[진성호의 융단폭격]긴급! 국민의힘 초선들 방금 "윤희숙과 공동행동" 충격 입장문! 문재인 송영길 멘붕! "이해찬도 검증하라
동영상보기https://youtu.be/bn-9pzGmF5Q
 
[성창경 TV]윤희숙과 문재인, 너무나 다른 품격 차이.
동영상보기https://youtu.be/avCofqi3t18
 
[성창경 TV](속보) 문재인부부, 댓글조작 고발 당했다
동영상보기https://youtu.be/yVD_E6EGBYk
 
조선일보 팔면봉
이재명, 소리 나는 전관들에 무료 변론 받아. 기본소득, 기본주택 내친김에 기본변론까지.
전자발찌 훼손한 성범죄자, 여성 두 명 살해. 법무부·경찰, 수사권 조정 하시느라 치안은 손 놓으셨나?
덴마크, 모든 코로나 규제 풀고 국가 정상화한다고. K방역에 도취되지 않았더라면 한국에서 먼저 나왔을 기사.
 
[조선일보 사설] 북한 빼곤 모두 걱정하는 언론징벌법, 그래도 강행할건가
어느 정권에서나 쟁점 법안은 있었다. 보수 우파 정권이 꼭 필요하다는 법을 진보 좌파가 반대하거나, 진보 좌파가 밀어붙이는 법을 보수 우파가 몸으로 막기도 했다. 외국과 맺는 자유무역협정(FTA)은 도시 지역 의원들은 지지하는데, 농어촌 지역 의원은 결사적으로 막아서곤 했다. 쟁점 법안은 이처럼 정파와 이해관계에 따라 찬반이 갈리는 법이다.이하 생략 원문보기
https://www.chosun.com/opinion/editorial/2021/08/30/E7D4EUQ5S5DOVPTY3FE4RGFKYM/
 
[이준우가 만난 사람] "정부, 'K방역'에 취해 있을 때 아냐국민 고통 겪는데 무슨 성공, 통제·규제 대신 자발적 방역 시급"/이준우 사회정책부 기자
홍윤철 대한예방의학회·한국역학회 코로나19 공동대책위원장/
'코로나 팬데믹' 고통의 터널이 끝없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의 고강도 거리 두기 조치에도 불구하고 확진자, 중환자, 사망자 발생 규모가 오히려 커지는 추세다. 정부는 올 들어서만 14차례 거리 두기 단계를 연장할 뿐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이하 생략 원문보기
https://www.chosun.com/national/welfare-medical/2021/08/30/HD6Q5ZMVXFARDMR7ZYIVIO5Z5M/

 
접종률 80% 덴마크 "코로나, 더 이상 중대질병 아니다"/최아리 기자
식당·영화관·나이트클럽 들어갈 때 접종증명서 안내도 돼 노마스크 허용, 집회제한 해제도감기처럼 취급하겠단 것/
덴마크가 코로나를 '사회적으로 중대한 질병'으로 분류하던 것을 종료하고, 코로나 방역을 위한 모든 제한 조치를 다음 달 10일 전면 해제하기로 했다. 코로나를 더 이상 심각한 전염병이 아닌 '감기'처럼 일상에 존재하는 질병으로 취급하겠다는 의미다. 이번 조치는 지난달 19일 봉쇄 해제를 발표한 영국보다 더 앞선 것으로 평가된다.이하 생략 원문보기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1/08/29/LM5RCBVMFBALBPSH57GD3W6JNQ/
[NOW] '패닉 대출' 1주일새 6배 폭증/김신영 기자 김은정 기자
신용대출 28800억원 늘어마이너스통장은 8배 정부 대출 조이기에 "막차 놓칠라" 한꺼번에 몰려/
금융 당국이 본격적인 대출 축소에 나선 지난 20일 이후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신용대출 증가액이 6배가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마이너스 통장'으로 불리는 마이너스 대출은 증가액이 8배에 육박했다.

이하 생략 원문보기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1/08/30/STTEKMWUEVHJFKBKY5SWRFDRO4/
 
녹조는 "보 개방 안해서"라더니, 이젠 "비 적은 탓"/박상현 기자
환경부, 낙동강 보 개방했지만 "비 많이 내려야 녹조 완화" 낙동강 수온 작년보다 6도 상승수온·수량이 녹조 좌우 시인한 셈 이하 생략 원문보기
https://www.chosun.com/national/transport-environment/2021/08/30/O7AF7SEAZNFAJIW5O6JMO3756Q/
 
송영길 에 얽매이지 않아강성지지층은 언론 10문자폭탄/조의준 기자
[, 언론징벌법 폭주] 일각과 우려에도 지도부는 언론법 강행
이하 생략 원문보기
https://www.chosun.com/politics/assembly/2021/08/30/3JE5ORBNNRDLRE2NGI5W4SEJXM/
 
830() 조선일보 많이 본 뉴스 10 제목 클릭, 기사 볼 수 있음
1.김혜수, ‘52의 미니스커트 각선미...얼굴 크기도 비현실적
2.[기자의 시각] 민주당이 꼭 봐야 할 판결문
3.손흥민 킥은 퍼스트 클래스” BBC 극찬 또 극찬... 200G 자축
4.어머님이랑 하고 싶어요” 20개월 딸 살해범, 장모에게 음란 문자
5.[단독] 양향자 의원 특보, 기업서 매달 300~550만원 받은 의혹
6.전기차도 집밥시대’... 콘센트, 충전 해결사로 떴다
7.김용호에 시달렸던 한예슬, 이근 인스타에 댓글 남겼다
8.정부, ‘K방역에 취해 있을 때 아냐국민 고통 겪는데 무슨 성공, 통제·규제 대신 자발적 방역 시급
9.못 배운 XX, 그니까 배달하지고려대 과잠 입고 막말한
10.이준석 제가 조용하니 후보가 뜨던가, 계속 찬물 끼얹을 것

830() 아일보 주요뉴스 10 제목 클릭 기사를 볼 수 있음
IAEA “영변 원자로 가동, 핵물질 재생산 정황
테러 보복 시작됐다 IS 겨냥 연이틀 드론 공습
탈레반 최고 지도자 아쿤드자다 칸다하르에 있다
범인 집에 시신 있었는데경찰, 3차례 찾아가고도 못 들어가
여당 언론법, 피해구제보다 비판보도 재갈 채울 것
, 언론중재법 처리 9월 정기국회로 미룰듯
진짜 징벌적 손배감은 국민 뒤통수 때리는 부동산정책
, 내일 첫 경선지 충청서 온라인 투표 이재명 대세 굳혀이낙연 반전 시작
이재명 무료변론 청탁금지법 위반” vs “변호인과 계약 비공개 원칙네거티브
윤희숙, 사퇴쇼 말고 탈당하라사퇴처리 거부땐 헌소 검토
 
830() Daum 많이 본 뉴스 10 제목 클릭하면 기사 볼 수 있음

뉴스

1애 유치원 데려갔더니 "할아버지가 오셨네요".. "저 아빤데요"
2, IS 자폭테러범들 싣고 카불공항 가던 차량 공습.."성공적"
3사위 함부로 대하는 친정엄마와 연 끊었는데..
4'바프' 1장에 속은 1년 썩는다..근육질 몸 뒤엔 생리불순·탈모
5최희석 경비원에 폭행·갑질해 죽음 내몬 주민 '징역5' 확정
6"지지율 거품" "당신 여당 후보야?" 경선룰 말 험해졌다
7"탈레반에 날 주는게 낫겠다" 두들겨맞던 정치인의 반전
8'커피 하루 3'의 전설, 장장 11년의 추적 관찰로 잠정 결론?
9검찰, 김건희 조사 불가피 결론.. 도이치모터스 수사 가속
10부하 여직원 '남근카페' 데려간 서울시 직원 '감봉 3개월'..징계 처분 3년만에 확정
 
830() Naver 헤드라인 본 뉴스5 제목 클릭, 기사 볼 수 있음
1.전자발찌 도주범 "여성 2명 살해"시신 싣고 와 자수/ 관련기사 개수98
2. '대출절벽' 현실화사금융 기웃거리는 서민/ 관련기사 개수52
3. 홍준표, 원가주택 맹비난이재명보다 더 허황된 공약/ 관련기사 개수73
4. [2] 자크 로게 전 IOC 위원장, 79세로 사망/ 관련기사 개수14
5. "제왕적 후보" "민주당 후보인가", 국민의힘 경선룰 파열음/ 관련기사 개수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