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풍진세상●/★뉴스모자이크

서울 시장은 서울 시민을 위해 일해야 한다

modory 2012. 7. 14. 08:36

서울 시장은 서울 시민을 위한 일을 해야 한다.


 2012.07.13 

조선 일보  이위재 사회부 서울시청팀장이 '대한민국 시장' 박원순이란 칼럼을 
썼다.  그 일부를 보면 
취임 9개월째를 맞은 박원순 서울시장은 그가 부임 후 8개월여간 트위터로 날린 
트윗은 하루 40개꼴로 그 하나하나가 시정(市政) 방향이고 과제다. 
그러다 보니 별별 생경한 지시가 다 내려온다. 
직원들은 시청 옥상에 양봉(養蜂)장을 만들었고, '잡상인'이란 용어를
 '이동 상인'으로 고쳤고, 반바지를 입고 출근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뭔가 빠진 느낌이다. 박 시장의 서울시가 쏟아내는 수많은 소식 중에 
정작 서울시는 잘 보이지 않는다. 서울시립대 반값 등록금 도입, 산하기관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서울대공원 동물원 돌고래 '제돌이' 
방사(放飼) 등 박 시장이 몰고 왔던 화제들은 사실 서울시 일이 아니다. 
교육과학기술부나 고용노동부, 환경부가 주무를 사안인데 서울시가 낚아채버렸다.
하고 싶은 일이 너무 많아서일까. 박 시장에게 인구 1000만명의 '메가 시티'인 
서울을 어떻게 한 단계 더 도약시킬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잘 보이지 않는다. 
전임 오세훈 시장에게 이는 디자인과 관광·홍보였다. 서울을 세계인에게 
매력적인 도시로 만든다는 포부였다. 
반응은 엇갈렸지만 서울시장으로서 서울시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정하고 
내놓은 청사진이었다. 조순 전 시장은 여의도광장을 시민을 위한 공원으로 
바꾸었고, 이명박 전 시장은 시내버스 시스템을 전면 개편하고 청계천을 복원했다. 
서울시의 큰 그림을 그린 정책이란 공통점이 있었다.
반면 박 시장은 서울시장이란 프레임에 만족하지 않는 듯하다. 뭔가 더 보편적이고 
더 전국적인 이슈에 집착한다. 용산 참사 관련자들을 사면해 달라고 청원하고, 
언론사 파업 찬성 집회에 나가 지지 발언을 쏟아낸다. 서울시장인데 서울이 아니라 
대한민국 전반, 더 나아가 한반도를 염두에 둔 듯한 행보까지 보인다.
하지만 서울시가 시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박 시장 취임 이후 최고의 
정책은 점심시간대 소규모 식당 주변 주차 완화였다. 
박 시장 취임 전부터 일부 자치구에서 하던 걸 서울시로 확대한 시책이다. 
그다음으로 꼽힌 발주공사 하도급 대금 지급 보장, 골목형 소형 소방차 개발·도입, 
119 생활구조대 5분 내 현장 도착도 모두 박 시장 작품이 아니었다. 
5위에 시립대 반값 등록금이 이름을 올렸지만 이는 서울시민이 다 함께 누리는 
혜택은 아니다.
서울시에 개선해야 할 소소한 문제들은 많다. 시장 혼자 다 해결할 수도 없다. 
문제는 지엽적 사안과 핵심적 사안 중 무엇을 우선시할 것이냐이다. 
서울시민에게 더 중요한 사안이 무엇인가를 박 시장은 좀 더 고민해 봐야 
할 필요가 있다.